[최진기 - 서양철학사 첫걸음 2] 제13강 : 쇼펜하우어
헤겔... 낙관주의
18세기 : 혁명의 시대
19세기 : 평화의 시대
20세기 : 전쟁의 시대
→
생(니이체, 쇼펜하우어)
분석철학
쇼펜하우어 『인생론』
- 행복한 인생을 위한 쇼펜하우어의 삶의 지혜와 해법을 배울 수 있다.
- 여성혐오주의자
현대 철학의 문을 연 책
『의지와 표상으로의 세계』
표상을 구성하는 것. 이성이 아니라 의지!
표상 : 표현된 상징
~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는 표상
세상은 의지가 충만한 의지덩어리
목적 없는 의지 - 채우지 못한 것을 채우고자 하는 의지 - 욕망의 의지
주관적 객관 : 완벽한 객관은 없다
객관적 존재로 이해하기 위해 나의 주관을 이용!
쇼펜하우어의 생(生) 철학
- 세계의 본질은 비합리적인 의지이며 이 의지는 생에의 맹목적인 의지이므로 생은 고(苦)이다.
- 이러한 생의 고뇌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금욕에 의한 해탈의 경지에 들어가야 한다.
욕구충족을 위해 이성과 지식이 동원된다.
욕구충족은 일시적이거나 우연적이다.
인도철학의 영향...
무의지의 세계로!
예술 : 고도의 정신적 관념에 대한 표현
불교의 사성제
- 고성제 : 현실세계의 결과 : 생노병사 등 인간의 삶 자체가 고통
- 집성제 : 현실세계의 원인 : 애욕과 무명(無明)이 고통의 근원
- 멸성제 : 이상세계의 결과 : 고통의 원인이 소멸되어 열반, 해탈의 경지에 이른 상태. 자타불이의 경지
- 도성제 : 이상세계의 원인 : 열반의 경지에 도달하는 수도 방법(팔정도)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 : 집착없이 베푸는 보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