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19일 월요일

[최진기의 100가지 인문학 : 역사를 바라보는 방법] 2강 : 칸트와 헤겔의 철학적 역사관

[최진기의 100가지 인문학 : 역사를 바라보는 방법] 2: 칸트와 헤겔의 철학적 역사관

 

한국사의 시대 구분 논쟁

  1. 근대 : 산업혁명 없어 개항 시기로 설정함
  2. 조선시대 : 절대왕정이 확립되어 근세로 분류함

 

역사의 발전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철학적 관점

 

잠바리트타 비코

  • 이탈리아 철학자. 자연 세계에 빠져있던 당대 철학에 반대하며, 역사에 주목하여 인류의 역사는 규칙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며 역사 철학의 기초를 닦았다.

 

칸트 - 역사발전의 원동력 - 이성

  • 이기주의가 발현될 때 역사는 진보한다.
  • 이타주의 - 질서
  • 이기주의와 이타주의의 조화로 인해 역사가 발전한다 보았던 칸트

 




헤겔

  • 국가주의자(국가를 유기체로 보았음... 성장과 진보를 한다고 생각)
  • 국가의식이 절대정신이라 이야기한 헤겔

 

헤겔의 역사관

  • 역사의 발전은 국가의 발전과 함께 진행되며, 모두가 자유로울 때 절대정신이 실현된다.

 

헤겔의 역사 서술 단계

  1. 근원적 역사 : 객관적 서술
  2. 반성적 역사 : 역사에 대한 해석, 비판
  3. 철학적 역사 : 자신의 철학으로 역사 바라보기

 




프랜시스 후쿠야마(Francis Fukuyama)

  •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의 정치경제학자
  • 역사의 종말이라는 책을 통해 냉전이 종식되는 순간을 인간의 진화가 완료되는 순간이라 이야기하였다.

 

자유민주주의의 승리 과정

  • 1단계 : 절대왕정과의 체제 싸움 승리
  • 2단계 : 파시즘과의 체제 싸움 승리
  • 3단계 : 공산주의와의 체제 싸움 승리

 

세계사적 개인 : 역사의 발전 단계를 이끌어 진화시킨 사람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조선31] 조선반란사 No.1 이괄의 난, 조선 역사에 이런 남성다움이 있었다.

[ 조선 31] 조선반란사 No.1 이괄의 난 , 조선 역사에 이런 남성다움이 있었다 .   1623 년 인조반정 이후 광해군을 다시 복위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 이시언 모반사건 (1623) 유몽인 모반사건 (1623) 박홍구 모반사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