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19일 월요일

[최진기의 100가지 인문학 : 역사를 바라보는 방법] 1강 : 최초의 역사관, 정치적 역사관

[최진기의 100가지 인문학 : 역사를 바라보는 방법] 1: 최초의 역사관, 정치적 역사관

 

역사를 안다는 것?

  1. 역사적 사실에 대해 아는 것
  2. 역사적 사실을 어떻게 바라볼지 아는 것

 

미곡 공출제(양곡 공출제)

  • 중일전쟁 이후 전시체제로 들어가면서 식량이 부족해진 일본제국이 1940년부터 시행한 식량수탈제도

 

역사적 사실만을 가르쳐온 대한민국 역사교육

 



  • 알면 되는 것 : 안중근은 누구인가?
  • 고쳐야 하는 것 : 안중근은 테러리스트?

 

역사적 사실을 아는 것보다 역사관을 아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객관적인 역사로부터 시작되었다 말하는 서양의 역사관

 





민주주의의 우월함을 전파하기 위해 기록되었던 히스토리아

 

춘추필법

  • 춘추로부터 비롯된 역사를 기술하는 방법
  • 객관적이고 정확한 묘사나 평가가 아닌, 사관의 주관에 따라서 사건을 축소/비평하여 기록하였다.

 




모든 역사는 역사가의 정치적 관점이 녹아들어 있다.

 

크로체의 역사관

  • 역사는 현재의 눈을 통해 바라보는 것이므로 역사는 역사가에 의해 해석된 것일 수밖에 없다.

 



역사는 과거의 사건이 어떻게 해석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E. H. :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역사적 사건의 사실(바깥쪽)과 본질적 의미(안쪽(을 구별하여 서술하고자 했던 클링우드

 

역사 왜곡의 두 종류

  • 1. 사실 자체의 왜곡
  • 2. 사실에 대한 변질된 해석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조선31] 조선반란사 No.1 이괄의 난, 조선 역사에 이런 남성다움이 있었다.

[ 조선 31] 조선반란사 No.1 이괄의 난 , 조선 역사에 이런 남성다움이 있었다 .   1623 년 인조반정 이후 광해군을 다시 복위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 이시언 모반사건 (1623) 유몽인 모반사건 (1623) 박홍구 모반사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