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기 : 세상을 바꾼 현대사상가들 - 사회과학 편] 6강 : 미시론적 관점 - 상징적 상호작용론
거시 - 구조 - 기능론
미시 - 상호작용
- 과학 - 귀납
- 수학 - 연역
거시론적 관점 vs 미시론적 관점
- 거시는 사회를 ‘구조’로 보고
- 미시는 사회를 ‘상호작용’으로 본다
보수주의자
- 기능론적 관점
- 변화를 부정
- 사회적 소수자 배제
- 사회통합과 질서유지에 도움
진보주의자
- 갈등론적 관점
- 혁명적인 힘
- 사회문제의 배후를 밝힘
- 모든 문제를 부정적 시각으로 해석
상징적 상호작용
- 언어나 몸짓, 기호 등과 같은 개인의 상징 행위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상징적 상호작용론
- 사회문화 현상을 개인들의 상징행위의 결과로 보고 그것에 주관적 의미를 부여하는 이론
랑그(langue) - 한 언어가 갖는 추상적 체계이자, 구성원 모두가 공유하는 사회적 약속
파롤(parole) - 인간이 실제 사용하는 개인적인 발화, 그리고 체계의 실현
아날 학파(Annales)
- 1929년 페브르와 블로크에 의해 창간된 <사회경제사 연보>를 중심으로 형성된 프랑스 역사학파
소유냐 존재냐
- To have or To be
- ‘To have’는 자본주의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