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19일 월요일

[최진기 : 세상을 바꾼 현대사상가들 - 사회과학 편] 6강 : 미시론적 관점 - 상징적 상호작용론

[최진기 : 세상을 바꾼 현대사상가들 - 사회과학 편] 6: 미시론적 관점 - 상징적 상호작용론

 

거시 - 구조 - 기능론

미시 - 상호작용

 

  • 과학 - 귀납
  • 수학 - 연역

 

거시론적 관점 vs 미시론적 관점

  • 거시는 사회를 구조로 보고
  • 미시는 사회를 상호작용으로 본다

 

보수주의자

  1. 기능론적 관점
  2. 변화를 부정
  3. 사회적 소수자 배제
  4. 사회통합과 질서유지에 도움

 

진보주의자

  1. 갈등론적 관점
  2. 혁명적인 힘
  3. 사회문제의 배후를 밝힘
  4. 모든 문제를 부정적 시각으로 해석

 

상징적 상호작용

  • 언어나 몸짓, 기호 등과 같은 개인의 상징 행위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상징적 상호작용론

  • 사회문화 현상을 개인들의 상징행위의 결과로 보고 그것에 주관적 의미를 부여하는 이론

 



랑그(langue) - 한 언어가 갖는 추상적 체계이자, 구성원 모두가 공유하는 사회적 약속

 

파롤(parole) - 인간이 실제 사용하는 개인적인 발화, 그리고 체계의 실현

 

아날 학파(Annales)

  • 1929년 페브르와 블로크에 의해 창간된 <사회경제사 연보>를 중심으로 형성된 프랑스 역사학파

 

소유냐 존재냐

  • To have or To be
  • ‘To have’는 자본주의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조선31] 조선반란사 No.1 이괄의 난, 조선 역사에 이런 남성다움이 있었다.

[ 조선 31] 조선반란사 No.1 이괄의 난 , 조선 역사에 이런 남성다움이 있었다 .   1623 년 인조반정 이후 광해군을 다시 복위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 이시언 모반사건 (1623) 유몽인 모반사건 (1623) 박홍구 모반사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