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18일 일요일

[최진기 - 서양철학사 첫걸음 2] 제10강 : 사회주의 (1)

[최진기 - 서양철학사 첫걸음 2] 10: 사회주의 (1)

 

맑스와 로크의 공통점

  • 인간의 본질은 노동
  • 로크는 자연에 노동을 가미하면 노동한 자의 소유물로 봄

 

맑스와 로크의 차이점

  • 맑스는 사회적 노동, 로크는 개인적 노동

 

유적본질(類的本質)

  • 유적본질은 이성, 의지, 심성으로 이루어지며 그것들은 완전한 것이자 인간 현존재의 목적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이 불행한 이유

  1. 분업 : 교육을 통해 극복(아담스미스). 막스는 시장을 부정하지 않는다.
  2. 소외 : 노동의 매매 과정에서 비롯되는 것... 창조주가 피조물의 지배를 받은 것

 

자본주의 : 인간의 노동이 매매되는 사회

봉건사회 : 인간의 인격이 매매되는 사회

 

성매매 논쟁의 핵심 쟁점

인격의 매매 vs 노동의 매매

 

등가교환

  • 상품의 가치와 가격이 일치하는 교환.
  • 자본주의 사회에서 양자가 일치하는 것은 아주 희소하고 대개의 경우 엄밀한 의미의 등가교환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사용가치와 교환가치가 일치하지 않는 예 : 화폐(명목화폐), 인간

 

자본가가 노동력을 선구매 하여 노동자의 노동력에 대한 권리가 자본가에게 이전되었고, 지불한 노동력보다 더 노동했을 때 잉여가치가 발생하게 된다.

교환가치 < 사용가치

 

착취의 원인 :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

 

모든 경제투쟁은 정치투쟁으로 연결된다.

 

공산주의 :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소비하는 사회 (ex 가족)

 

우리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의식이 아니라 물질이다!

무의식 - 프로이드... 무의식을 지배하는 것은 ’(리비도)... 꿈의 해석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조선31] 조선반란사 No.1 이괄의 난, 조선 역사에 이런 남성다움이 있었다.

[ 조선 31] 조선반란사 No.1 이괄의 난 , 조선 역사에 이런 남성다움이 있었다 .   1623 년 인조반정 이후 광해군을 다시 복위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 이시언 모반사건 (1623) 유몽인 모반사건 (1623) 박홍구 모반사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