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기 - 서양철학사 첫걸음 2] 제10강 : 사회주의 (1)
맑스와 로크의 공통점
- 인간의 본질은 노동
- 로크는 자연에 노동을 가미하면 노동한 자의 소유물로 봄
맑스와 로크의 차이점
- 맑스는 사회적 노동, 로크는 개인적 노동
유적본질(類的本質)
- 유적본질은 이성, 의지, 심성으로 이루어지며 그것들은 완전한 것이자 인간 현존재의 목적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이 불행한 이유
- 분업 : 교육을 통해 극복(아담스미스). 막스는 시장을 부정하지 않는다.
- 소외 : 노동의 매매 과정에서 비롯되는 것... 창조주가 피조물의 지배를 받은 것
자본주의 : 인간의 노동이 매매되는 사회
봉건사회 : 인간의 인격이 매매되는 사회
성매매 논쟁의 핵심 쟁점
인격의 매매 vs 노동의 매매
등가교환
- 상품의 가치와 가격이 일치하는 교환.
- 자본주의 사회에서 양자가 일치하는 것은 아주 희소하고 대개의 경우 엄밀한 의미의 등가교환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사용가치와 교환가치가 일치하지 않는 예 : 화폐(명목화폐), 인간
자본가가 노동력을 선구매 하여 노동자의 노동력에 대한 권리가 자본가에게 이전되었고, 지불한 노동력보다 더 노동했을 때 잉여가치가 발생하게 된다.
교환가치 < 사용가치
착취의 원인 :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
모든 경제투쟁은 정치투쟁으로 연결된다.
공산주의 :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소비하는 사회 (ex 가족)
우리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의식이 아니라 물질이다!
무의식 - 프로이드... 무의식을 지배하는 것은 ‘성’(리비도)... 꿈의 해석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