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기의 100가지 인문학 : 우리가 몰랐던 재미있는 신화 이야기] 2강 : 힌두교의 창조 신화 : 우유바다 휘젓기
그리스의 창조신화
- 가이아(대지) : 우라노스(하늘)을 낳음
- 가이아와 우라노스
- 12명의 티탄족과 키클롭스, 헤카톨케이데스를 낳음
아수라(Asura)
- 힌두교에서 주신과 대립하는 악신
- 불교에서는 힌두 신화를 수용하여 부처의 가르침을 받아 불법을 지키는 신장들을 가리킨다.
데바(Deva)
- 아수라와 대변되는 선한 신, 혹은 신족
비슈누(Vishnu)
- 힌두교의 삼주신 중 하나.
- 우주의 유지와 보존을 담당하고 세상의 질서와 정의를 방어하는 존재로 여겨지며, 가장 자비롭고 선한 신으로 나타난다.
인드라(Indra)
- 전쟁의 신으로 천둥과 번개를 지휘하고 비를 관장한다.
- 불교에서는 불법의 수호신으로 수용되어 ‘제석천’이라 부른다.
[우유바다 휘젓기 이야기]
1. 인드라의 실수로 인해 데마들은 저주를 받아 힘이 약해진다.
조로아스터교
- 페르시아 지역에서 발흥한 종교로 창조신 아후라 마즈다를 중심으로 선과 악이라는 이원론적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 ‘배화교’라고도 부르며, 락 벤드 퀸의 프레디 머큐리가 조로아스터교 신자였던 것으로 유명하다.
아리아인(Aryan)
- 중앙아시아의 초원 지대를 중심으로 번성한 고대 어적.
- 인도ㆍ유럽 중부, 중국 서부까지 진출하여 오늘날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대부분의 민족들의 기원이 된 것으로 추정한다.
브라만 = “희다”
조로아스터교와 힌두교가 유사한 이유
- 아리아인이 인도로 진출해 토착 민족 드라비다인을 복속시켰기 때문
2. 데바들, 삼주신을 찾아가 도움을 요청하다. 비슈누가 중재에 나선다.
3. 비슈누는 아수라에게 불사약을 만들자는 제안을 하고, 여러 동물들과 신에게 부탁하여 바다를 휘저을 준비를 마친다.
4. 천년간의 휘젓기 이후, 암리타가 완성되었으나 비슈누의 화신, 모히니로 인해 데바만 영생을 얻는다.
5. 아수라 라후, 몰래 암리타를 먹었으나, 해와 달의 고자질로 인해 목이 잘린다.
해와 달을 쫓아다니며 일식과 월식을 만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