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기 - 서양철학사 첫걸음 1] 제6강 : 헬레니즘 철학 (1) 에피쿠로스
☞ 오마이스쿨 강의 노트 필기한 것임
에피쿠로스 (Epicurus, BC 341 사모스 ~ BC 271 아테네)
헬레니즘 철학의 특징
- 그리스 도시국가의 기반인 공동체적 삶 붕괴
- 개인주의적 성격 : 검소, 소박, 사회적 의무에 대한 무관심, 개인의 안심입명 추구
- 그리스의 인간이란 무엇인가 - 나는 어떻게 마음의 평정을 얻을 것인가
에피쿠로스의 은둔주의 :
- 32세 나이에 아테네에 '정원' 설립 - 철학공동체
- "하루에 음식을 장만하는데 1므나의 돈만 쓰고, 포도주 1/4리터 그리고 대부분은 물만 마시는 생활을 즐긴다."
- "뜻만 같다면 노예나 여자 심지어 매춘부도 공동체의 일원으로 받아들인다."
에피쿠로스의 유물론 - 원자론
- 모든 세계는 원자로 구성
- 낙하운동 속에서 우연히 궤도를 벋어나 주변원자와 충돌, 그 충돌로 여러 개의 덩어리가 되어 사물을 구성
1. 어떤 존재가 있다면 물질(인간과 神 포함)
2. 필연은 없다 - 목적도 없다 - 신도 없다
3. 인간은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열어야 한다. - 인간이 살아있다면 죽음을 경험할 수 없고, 죽었다면 죽음을 느낄 수 없다.
에피쿠로스의 무신론
- 신은 악을 막을 의지는 있지만, 능력이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는 전능하지 않은 것인가? - 악을 막을 능력은 있는데 의지가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그는 악한 것이다. - 악을 막을 능력도 있고 의사도 있는 것인가?
그렇다면 이 세상의 악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인가? - 악을 막을 능력도, 의지도 없는 것인가?
그렇다면 왜 그를 신이라 불러야 하는가?
서양 사상의 기반
- 성경 - 기독교적 사고방식 - 神성 - 헤브라이즘적 사고
- 그리스ㆍ로마신화 - 그리스ㆍ로마적 사고방식 - 이성 - 헬레니즘적 사고(합리적/이성적)
한국인의 사상적 특징
통합사상 : 유불도의 조화
공동체주의 → 개인주의
전쟁 - 개인주의 사상
중국 - 양주의 위아론, 죽림칠현 청담사상
서양 - 에피쿠로스, 스토아학파, 실존주의
헬레니즘 철학의 특징
- 개인주의
- 검소, 소박, 자족
- 안심입명
아타락시아 : 몸에 고통이 없고 마음엔 불안이 없는 평안한 상태
에피쿠로스 : “쾌락은 충족량이 아니라 충족물에 의해 결정된다”
- 금욕적 쾌락주의, 소박한 쾌락주의
브래들리 효과(Bradley effect)
- 선거전의 여론조사에서는 지지율이 우세하였던 비백인 후보가 실제 선거에서는 여론조사와 달리 득표율이 낮게 나오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
에피쿠로스 : 육체적 쾌락은 고통을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신적 쾌락을 추구해야 한다.
쾌락의 3분류
- 필수적 쾌락 : 의식주(철학하는 쾌락 / 우정하는 쾌락)
- 안필수적 쾌락 : 럭셔리 의식주
- 공허한 쾌락 : 명예, 권위
하이데거 :
- 인간은 죽음을 알고 산다.
- 하이데거 “무신론적 실존주의”
- 인간은 삶의 유한성을 자각하고 그 소중함을 깨달아 ‘주체적 결단’을 내리는 존재
- 죽음이 올거라는 두려움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