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기 - 서양철학사 첫걸음 1] 제4강 : 그리스철학 (3) 플라톤
☞ 오마이스쿨 강의 노트 필기한 것임
플라톤(BC 427? ~ BC 347)
화이트 헤드, “플라톤 이후의 모든 서양 철학은 플라톤의 주석에 불과하다.”
플라톤의 이원론
- 현실 vs 이데아
- 경험가능 vs 경험불가능
- 불완전 vs 완전
- 경험의 세계에선 이데아를 인식할 수 없다 : 관념론
동굴의 비유
- 플라톤이 『국가』 제7권에서 사용한 비유.
- 동굴 속에 수감된 인간은 이데아의 환영을 실재라 착각하며 살게 된다.
정의로운 인간 : 플라톤의 4주덕(지혜, 용기, 절제, 정의)
플라토닉 러브 :
- 이상주의적이며 관념론적 사랑, 순수한 정신적 사랑
- 소크라테스 : 알키미데아(미소년)
초인ㆍ철인 : 왕이 철학자가 되거나 철학자가 왕이 되는 것!
민주정을 부정함
체육~수학
아카데미아 :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들어오지 마라!
통치계급 : 부인공유제 - 상속의 동기를 가져서는 안된다. 사적 동기를 가지지 말라
사유재산 부정, 황금 소유 부정
플라톤의 철인정치
- 철학자가 정치를 해야 한다는 주장
- 부인공유제를 통해 상속동기를 없애고 사유재산을 허용하지 않음
- 공산적 사고방식과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시초
- 통치계급은 더 높은 도덕성을 요구... 신분재질서
맹자 :
- “무항산 무항심”(無恒産 無恒心)
- 경제적으로 생활이 안정되어야 항상 바른 마음을 가질 수 있다.
청백리 : 항산 없이 항심을 지키는 사람 (ex 율곡 이이)
워쇼스키 : 형제로 출발해서 남매를 거쳐 자매로 완성됨!
시뮬라크르 : 현실을 대체하는 모사된 이미지
시뮬라시옹 : 실재가 시뮬라크르로 전환되는 과정/작업
(이미지가 중요!)
플라톤 : 국가를 살아있는 유기체로 보았다. 개인은 국가의 세포라는 이야기
- 국가주의 : 국가란 틀이 없이는 개인은 완벽한 인격체가 될 수 없다.
- 국가의 역할 : 개인이 도덕적 선을 완벽하게 구현하게 해주는 것
- 독재의 근거를 제공 : 플라톤
칼 포퍼 『열린 사회와 그 적들』
- 플라톤ㆍ헤겔ㆍ마르크스를 전체주의, 국가주의, 닫힌 사회라고 비판하면서 열린 사회를 주장한 철학 이론서
르네 마그리트
-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화가.
- 친숙하고 익숙한 것을 생소한 배경에 위치시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그림을 그렸다.
기능주의, 국가주의, 독재, 이원론, 이상주의 - 관념론의 원조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