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6일 화요일

[최진기 - 서양철학사 첫걸음 1] 제1강 : 서양철학의 여명

[최진기 - 서양철학사 첫걸음 1] 1: 서양철학의 여명

 



  • 경영학 : 피터 드래커
  • 경제학 : 아담 스미스
  • 사회학 : 콩트

 

철학이란 :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

 

세계를 주체(존재론)와 객체(우주론)로 나눈다.

 

이론철학

  • 우주론 : 객체를 연구
  • 존재론 : 주체를 연구
  • 인식론 : 주체와 객체를 연구

 

실천철학

  • 윤리학
  • 정치철학
  • 역사철학

 

성리학의 이기(理氣)

  • () : 사물을 낳는 근본, 세계의 참모습
  • () : 사물을 구성하는 재료, 세계의 현실적인 모습

 

마음(), 성리학의 심성론

  • () = ()에 해당하는 것으로 오로지 선하기만 함
  • () = ()에 해당하는 것으로 선하기도 하고 악하기도 함

 

데카르트 : 존재의 근원 - 사유

 

[탈레스]

  • 피라미드 높이를 계산
  • 우주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보았다.
  • 현상과 본질 중에서 본질에 집중

 

[헤라클레이토스]

  • 만물의 근원을 불로 보았다.
  • 불은 한 순간도 같은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변화()
  • 계속 변한다.
  •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

 

[파르메니데스]

  • 일자(一者, the one)
  • 있는 것은 있고 없는 것은 없다
  • 컵 두 개 사이에는 아무 것도 없다... 그래서 하나다!
  • 운동이 없음 - 변화를 부정함

 

[데모크리토스]

  • 만물의 근원을 원자로 보았다. (유물론)

 

[피타고라스]

  • 만물의 근원을 로 보았다.

 

사물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방법

  • 감각, 경험
  • 사유(이성)

 

인식론

  • 경험 중심
  • 이성 중시

 

헤라클레이토스

변화

감각

경험 중심 철학

현실주의

파르메니데스

일자

불변

이성

이성 중심 철학

이상주의

 

경험

이성

시대

소피스트

소트라테스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그리스

에피쿠로스

스토아

헬레니즘

베이컨 / 홉스 / 로크

데카르트 / 스피노자

근세

공리주의

칸트

근대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조선31] 조선반란사 No.1 이괄의 난, 조선 역사에 이런 남성다움이 있었다.

[ 조선 31] 조선반란사 No.1 이괄의 난 , 조선 역사에 이런 남성다움이 있었다 .   1623 년 인조반정 이후 광해군을 다시 복위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 이시언 모반사건 (1623) 유몽인 모반사건 (1623) 박홍구 모반사건 (1...